Array ( )

큐레이션

큐레이션을 통해 선별된 양질의 교육서비스 공유활용
자녀교육부터 학부모교육까지 양질의 교육서비스 !

    큐레이션  지역교육뉴스

중앙대 수시 입시결과

중앙대는 얼마 전에 학생부전형 가이드북을 통해서 2024학년도 학생부중심 전형의 입시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다. 그런데 이 때 발표한 자료가 최종등록자 기준이 아니라 최초합격자와 추가합격자를 포함한 평균등급이었기 때문에 정확한 입시결과로 예상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미뤄두고 있다가 이번에 어디가 입시결과가 발표되어서 70%컷을 입력하고 정리를 했습니다.


요즘 가장 많은 관심을 받는 분야는 역시 의약계열입니다. 이번 서울권 의대는 정원에 변동이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인원을 선발하는 의대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어쩌면 희소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에 앞으로 입결은 더 높아질 수 있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특히 중앙대는 2022년에 700병상 규모의 광명병원을 개원하면서 기존에 흑석동에 자리한 중앙대 병원(800병상)만있던 것에 비해서 의대 위상이 높아졌다고 보여집니다.

약대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최고의 위치를 자랑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에서 4합5(1)의 높은 최저기준을 요구하더라도 1.2정도 부근의 70%컷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역거점국립대인 전북대 의대가 4합5(2)절사의 최저기준에 평균등급이 1.2 부근에서 형성되는 것과 비교하면 중앙대 약대의 수준을 대략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융합형인재와 탐구형인재는 의대, 약대 모두 융합형인재의 평균등급이나 70%컷이 높은 수준인 것은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요소에서 학업역량의 비율이 높은 융합형인재의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수능최저기준이 없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 2023학년도까지 1.5등급 이상의 70%컷을 유지했다는 것은 일반고의 비율이 높지 않았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2024학년도에 평균등급과 70%컷이 모두 1.3등급 정도로 수준이 높아진 것은 어느 정도 일반고 비율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앙대의 모집단위별 평균등급을 비교해보면 해마다 모집단위의 변경과 같은 모집단위에서도 전형의 이동이 있다보니 일관성 있는 비교를 하기 어렵습니다. 일부러 전형들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지역균형은 2022학년도까지 학과별 모집을 하다가 2023학년도부터는 2025학년도부터 신설되는 전공자율선택제를 미리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경제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생명공학대학 등으로 선발하였습니다. 전공개방모집을 하는 단과대학모집단위는 학생부종합전형이 없기 때문에 평균등급이 높은 수준으로 형성됩니다.

아래 자료는 최근 3년간의 평균등급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정렬하였습니다

중앙대 입시결과를 계열별로 정리를 할 때 자연계열은 서울캠퍼스와 다빈치캠퍼스를 구분해서 정리를 했습니다. 다빈치캠퍼스는 인문계열 모집단위는 없이 자연계열 모집단위들을 모집하는데 아무래도 서울캠퍼스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의 평균등급이 서울캠퍼스 자연계열은 1.5~1.6 정도 수준이지만 다빈치캠퍼스는 2.5등급 부근에서 형성됩니다. 다빈치캠퍼스의 지역균형은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데도 평균등급이 낮은 수준입니다.

융합형인재와 탐구형인재는 서류평가에서 평가요소의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합격생들의 고교유형 비율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평균등급이나 70%컷에서 차이가 있다. 일반고의 합격 비율이 높은 CAU융합형인재의 평균등급 수준이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중앙대 수시모집 모집단위별 입시결과는 2024학년도 평균등급을 기준으로 정렬했다. 인문계열에서는 2024학년도까지 융합형인재로 선발했던 독일어문학, 러시아어문학, 일본어문학, 정치국제학과, 중국어문학, 프랑스어문학 등 어문계열의 모집단위가 2025학년도에는 탐구형인재로 선발이 됩니다. 반대로 역사학과, 응용통계학과는 2024학년도까지 탐구형으로 선발을 하다가 올해는 융합형으로 선발을 합니다.


면접이 꼭 필요한 모집단위와 그렇지 않은 모집단위가 있다고 판단이 되는 모양입니다.

 

출처 : 괜찮은 뉴스(http://www.nextplay.kr)

기자명 담당지역 이메일 기자사진
패스하다 / 본사관리자 서울특별시·강남구 admin@passhada.com
(주)동아이지에듀제호 : E동아
대표이사 : 홍성철
등록번호:서울 다10042, 등록일:2010년7월30일
E-mail : manage@studyplus.co.kr
주소 :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35-17 2F
통신판매: 2010-서울서대문구-2085호
(주)인프라에듀사업자등록번호 : 697-87-00431
대표이사 : 곽성원
Tel : 1599-9572 [고객센터 운영시간 10:00 ~ 20:00]
E-mail : business@studyplus.co.kr
주소 : 서울 양천구 목동로 9길 1
통신판매 :2016-서울양천-0275호
학원설립 운영등록번호 : 제6349호 스터디플러스원격학원
본 사업은 (주)동아이지에듀와 공동으로 기획,관리하며 ㈜인프라에듀가 운영한다.
COPYRIGHTSⓒ2025STUDYPLUS ALL RIGHTS RESERVED